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의보감37

목소리로 병증을 분별한다. 한의학에서는 목소리를 단지 목이라는 부위에서 생기는 것으로 보지 않고 오장과 연결시켜 설명합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목소리, 목소리와 오장육부의 관련성, 목소리로 병증을 아는 것, 그리고 목소리 잘 나오게하는 처방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심은 목소리의 주인이고 폐는 목소리의 문이며, 신은 목소리의 뿌리다.  목소리는 신(腎)에서 근원하며 폐는 목소리가 나오는 문이고, 심장이 목소리를 관장한다고 봅니다.  직지에서는 "심은 목소리의 주인인고, 폐는 목소리가 나오는 문이며, 신은 목소리의 뿌리다."라고 하였습니다.  말을 하려면 먼저 정신활동이 있어야 하며 정신활동은 신(神)의 작용으로 신은 심장이 주관하므로 목소리의 주인은 심장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소리는 공기와 만나야 전달이 되는데, 몸안에 있.. 2024. 7. 30.
인체의 모든 수분 진액(津液) 한의학에서 말하는 진액은 인체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말합니다. 눈물, 땀, 침, 콧물 등 이 중에서 땀을 중시하는데, 땀으로 몸의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진액, 그리고 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진액은 인체에 존재하는 모든 수분을 말하는 것으로 진(津)은 피부 주위의 조직에 공급되는 수분으로 땀처럼 비교적 많은 수분을 말하며 액(液)은 뼛속으로 스며들어가 뼈의 굴신이 잘되도록하는 관절액이나 뇌척수액처럼 농도가 짙은 수분을 말합니다.  진액을 주관하는 것은 오장육부중 대장과 소장입니다.  위(胃)로부터 영양분을 받아 진액을 위쪽으로 올려 피모(皮毛)에 공급, 땀구멍을 튼튼하게 해줍니다.   주자(朱子)는 "음과 양이 합쳐져 생기는 것은 수(水)와 화(火)이며 이 둘은 모두.. 2024. 7. 29.
10병9담-만병의 원인 담(痰) 만병의 원인은 스트레스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는 모든 병의 원인이 담(痰)에 있다고 하였습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담의 원인과 담의 증상, 치료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0병 9담 담은 인체에 존재하는 진액이 정상적인 변화과정을 거쳐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체내에 남아 있는 것으로 다른 진액의 흐름을 방해하고 여러 가지 병증을 일으킵니다.  동의보감에서는 10가지 병 가운데 9가지는 담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인체에 존재하는 비생리적인 액체인 담은 담, 연, 음 세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담(痰), 연(涎), 음(飮)은 유래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되는데 담은 기혈의 통로인 포락(包絡)에 있다가 기를 따라 폐로 들어가 기침할 때 나오는 것으로 걸쭉하면서 탁합니다.  연은 비(脾)에 .. 2024. 7. 27.
혈병(血病)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법 혈병의 종류와 증상 그리고 치료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구혈과 토혈 피가 위로 올라와 입으로 나오는 경우로는 구혈(嘔血)과 토혈(吐血)이 있는데, 구혈은 구역질을 하며 토하는 것을 말하고, 토혈은 구역질 없이 피만 토하는 것을 말합니다.  토혈은 화(火) 병에 의한 것으로 화를 치료하면 낫게 됩니다.  각혈과 타혈 피가 신장에서부터 나오는 것으로 타혈(唾血)은 가래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하고 각혈은 작은 핏덩어리가 울대에서 나오는것인데 이것들의 원인은 비장에 있습니다.  피오줌과 피똥 하초에 열이 있으면 피오줌이 나오는데 이것은 임병(姙病)과 잘 구별해야 합니다.  임병이면 아프면서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으로 방광에서부터 나옵니다.  아프지 않으면서 피가 나오는 경우 이는 심장의 열이 소장.. 2024. 7. 25.
몸의 근본 혈(血)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혈(血)에 대하여 그리고 혈병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몸은 혈에서 힘을 얻어야 제대로 작동한다.  내경에서는 '혈(血)을 영기(榮氣)가 되어 몸안을 영화롭게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우리 몸은 혈에서 힘을 얻어야 살아갈수 있는데, 혈은 음식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혈은 음식의 정미로운 기운으로 위(胃)에서 받아들인 음식이 소장에서 소화과정을 거쳐 정미로운 기운은 비장으로 오고 거기에 심장의 화기(火氣)가 섞이면 붉은 피가 됩니다.  혈은 영(榮), 또는 영혈(榮血)이라고도 합니다.  혈은 오장육부를 적시고 사지를 잘 통하게 하며, 몸과 마음이 활동하게 해줍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혈을 " 음식물의 정미로운 기운으로 그것은 오장을 고르게 하고 육부에서 못쓸.. 2024. 7. 24.
정신활동의 주체 신(神)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신(神)에 대해서, 그리고 신병의 종류와 증상, 치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신활동의 주체 신(神) 정(精)은 인간의 물질적인 측면이고, 기(氣)는 몸의 생리적인 운동을 담당하며, 신(神)은 비물질적이고 무형적인 측면입니다.  신은 지각, 사유, 감정등의 정신활동을 의미합니다.  그중 감정은 유동적인 신의 작용이며 신은 대체로 조용한 정신활동을 말합니다.  신은 인간의 정신적 활동을 제어하는데, 혼란스럽고 부산한 정신에 중심과 균형을 잡아줍니다.  신은 음식물에서 생겨나며 동의보감에서는 '음식물의 정화가 저장되어 오장의 기운을 기르니, 기운이 조화로워져 생명이 영위되고 진액이 생겨나니 신이 저절로 생겨난다.'라고 하였습니다.  신을 관장하는 주요 기관은 심장입니다.  신은 심장의 비.. 2024. 7. 22.
생명의 원천, 기(氣)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정(精)과 신(神)의 뿌리인 기(氣)에 대하여, 그리고 기를 수련하여 무병장수하는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精)과 신(神)의 원천기는 정과 신보다 먼저 생겨나며 정과 신의 뿌리입니다.정은 몸의 물질적인 토대, 즉 육체이고, 신은 영적활동 즉 정신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기를 정의 아버지이며, 신의 할아버지 라고 하였습니다.  사람의 몸은 정, 기, 신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의 본원지는 어디인가.배꼽아래 단전에 있다고도 하고, 두 신장(腎腸) 사이에 있다고도 합니다.   기는 음식물의 영양분으로부터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氣)라는 글자에는 쌀 미(米)자가 들어있는 것입니다.  기를 주관하는 것을 폐입니다.  음식이 몸에 들어오면 몸에서는 음식을 .. 2024. 7. 17.
몸의 근본, 정(精)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정(精)에 대하여, 그리고 정을 보하는 방법과 정을 보하는 처방과 정을 보하는운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은 몸의 근본으로 사람에게 가장 귀한 것이다.  정은 몸의 근본으로 정이 생성되는 것은 남녀의 신(神)이 만나 하나의 형체를 이루며, 그 형체가 몸으로 완성되기 전에먼저 생깁니다.  이것은 '선천의 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오곡의 영양분도 정을 만드는데 이것을 '후천의 정'이라고 합니다.  정은 우리몸의 모든 물로 진액, 혈액, 눈물, 콧물, 정액, 오줌등으로 존재하며 좀 더 밀도가 높은 형태로는 골수, 뇌, 더 응축되면 뼈가 됩니다.  그 중 정액은 생명을 탄생시키는 생명의 원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명을 유지하는 지극히 중요한 것으로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며.. 2024. 7. 16.
두통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머리와 두통의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머리는 하늘을 나타낸다.  머리는 정신작용이 일어나는 곳으로 사람의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 중 하나입니다.  머리의 둘레는 2자 6치이고, 머리끝에서 턱까지의 길이는 2자 2치, 두 귀뒤에 도드라져 나온 사이의 너비는 9치 이고, 두 귀 앞쪽사이의 길이가 1자 3치 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뇌를 골수의 바다라고 표현하며 뇌가 꼬리뼈까지의 골수를 관장한다고 하였습니다.  골수는 생명력과 관련되어 있는데, 골수가 충실하면 몸이 튼튼하고 가벼우며 힘이 셉니다.  머리에서 일어나는 정신작용에 대하여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하늘의 골짜기는 조화작용을 포함하고 빈 공간을 품고 있다.  땅의 골짜.. 2024. 7. 15.
살찌는법과 살빼는 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살과 살이 찌는 법과 살이 빠지는 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비장이 건강하면 살이 잘 붙는다. 살은 오장(五腸) 중에 비(脾)가 주관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비가 기(氣)와 혈(血)을 낳으며, 살을 주관한다고 봅니다. 위장과 소장에서 소화과정을 거치며 모이는 수곡의 영양물질은 모두 비로 오므로 비가 건강하면 살이 잘 붙습니다. 이것에 대하여 동의보감에서는 '기와혈이 모두 넘치면 살이 찌고, 때깔이 나며, 기는 남지만 혈이 부족하면 살만 찌고 때깔이 없게 되며, 기와 혈 모두 부족하면 홀쭉해지며 때깔도 나지 않는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살은 특징적인 부분이 있는데, 한곳은 계곡과 같이 움푹 파인 곳으로 이곳은 곡식으로부터 받은 맑은 기운인 영기(榮氣)와 탁한 기운인 위기(.. 2024.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