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장육부9

삼초의 기능과 삼초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삼초의 형상과 기능, 삼초병의 증상 및 치료법 그리고 삼초병에 좋은 음식을알아보겠습니다.   삼초의 형상 삼초는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 셋을 통틀어 일컬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삼초에 대하여 "형체는 없고 작용만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때문에 삼초의 형체나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가슴과 횡격막 위를 상초, 횡격막 아래와 배꼽 위를 중초,배꼽에서부터 발끝까지를 하초라고 하는 이도 있고, 기혈을 잘 돌게 하는 역할만 할뿐 뚜렷한 형태를 갖고 있지 않다고 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삼초의 형태에 대하여 말하자면 상초는 안개와 같고, 중초는 거품과 같으며, 하초는 도랑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상초는 양기(陽氣)를 내서 피부와 살 사이를 따뜻하게 하.. 2024. 7. 11.
방광의 기능과 방광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방광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 수 있는 방광의 상태와방광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방광에 좋은 음식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방광의 모양  방광은 위치는 아랫배에 있고 비어 있으며, 이곳으로 물을 담을 수 있으므로 진액의 창고라고 합니다.  위(上)에는 구멍이 나 있고 아래에는 구멍이 없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방광의 위에는 양 신장에서 연결된 요관이 열리는 구멍이 하나씩 있고, 아래에는 오줌을 내려보내는 요도와 연결된 구멍이 하나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장부의 구조는 직접 보고 관찰한 해부학적 관점에서 설명했다기보다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방광의 오줌은 배꼽아래 단전인 기해(氣海)의 힘을 받아야 나오는데 기가 제.. 2024. 7. 10.
대장의 기능과 대장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대장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대장의 상태와 대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대장병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의 모양  대장은 회장(廻腸) 또는 광장(廣腸)이라고도 하며, 길이는 2장 1척, 둘레는 8치, 지름 2와 3/2치, 무게는 2근 12냥이고 이것은 오른쪽으로 16굽이 감겨 있고 그 속에 곡물 2말과 물 7되 반을 담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위, 아래에 큰 주름이 있으며 아래의 끝은 항문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장과 소장에는 심장, 신장, 방광을 연결하는 줄이 있는데, 이 줄은 횡경막 아래와 척추의 근육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을 횡경막, 힘줄, 낙맥이 싸 덮고 있습니다.  이 작은 혈맥들은 기혈과 진액이 도는 길입니다. 대장은 폐와.. 2024. 7. 9.
위장의 기능과 위장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위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위의 상태와 위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위장병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모양과 기능 위는 길이 1자 6치이고, 구부러져 있는 위를 똑바로 펴면 2자 6치 이입니다. 둘레는 1자 5치이고, 지름인 5치, 무게는 2근 14냥입니다.  위는 명치와 배꼽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위는 음식물을 3말 5되 받을 수 있는데, 곡식 2말과 물 1말 5되가 들어갈수 있습니다.  왕방의 주에서는 위에 대하여 시장같다고 했는데 ' 수곡이 들어가는 곳으로 오미(五味)가 모두 섞이므로 시장과 같다.' 라고 하였습니다.  위에서 받아들이는 음식의 오미는 각자가 좋아하는 장부로 가는데, 신맛은 간으로 가고, 쓴맛은 심장으로, 단맛.. 2024. 7. 8.
오장육부-쓸개의 기능, 쓸개병 증상및 치료법, 쓸개에 좋은 약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담의 형상, 기능, 몸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쓸개의 상태와 쓸개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쓸개에 좋은 약과 양생법을 알아봅니다.   쓸개의 모양과 기능 개는 검은색을 띠고 있고, 매달린 박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쓸개는 간의 작은 잎 가운데에 붙어 있고 맑은 즙 세 홉을 담고 있으며 드나드는 구멍은 없습니다.  쓸개는 겨드랑이를 주관합니다.  쓸개는 간과 같은 목(木)의 장부 이지만 결단하는 일을 맡아 합니다.  쓸개의 결단력은 금(金)에 가까운데 그 이유는 쓸개가 금에서 생기기 때문입니다.  하여 쓸개가 약하면 우유부단하고 간도 건강하지 않습니다.  쓸개는 용감함을 주관하는데 쓸개가 상하면 잘 놀라거나 잘 두려워합니다.  얼굴빛이 푸른빛을 띠거나 빛을 잃은것은.. 2024. 7. 6.
오장육부 -비장의 기능과 비장병의 증상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비장의 형상, 기능, 속하는 사물, 몸밖으로나타나는 비장의 상태와비장병의 증상,치료법과 양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비장의 형상과 기능 비장의 형상은 말발굽처럼 생겼고 위완(위(胃)의 빈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것은 토(土)의 모양을 본뜬 것입니다.  비장은 중완(위의 중앙)보다 위에, 심장보다 아래, 신장보다는 위에 있으며 중토(中土)로서 모든 곳으로 그 영향력을 전달합니다.  비장은 이처럼 몸의 중심에 있기에 도교에서는 비장을 황정(黃庭)이라고 합니다.  황색은 중앙의 색깔이고 뜰은 사방의 가운데입니다. 비장은 의(意)가 깃들어 있는 곳입니다.  비장은 피를 간직하고 오장을 따뜻하게 합니다.   비장은 위(胃)의 아래에 있으면서 위기(胃氣)를 도와 음식이 잘.. 2024. 7. 2.
오장육부- 심장의 기능과 심장병의 증상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심장의 형상과 기능, 속하는 것들,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심장의 상태와 심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심장에 좋은 양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심장의 형상심장의 모양은 피어나지 않은 연꽃같이 생겼는데 위는 크고 아래는 뾰족하며 폐에 거꾸로 붙어있고 심포락에 쌓여있습니다.  심장의 정신이 깃든 곳으로 신(神)을 저장하는 일을 주관합니다.  이에 관한 동의보감의 재미있는 설명이 있습니다.  심장에는 9개의 구멍이 있는데 여기에는 천진(天眞)의 기를 이끌어가는 정신이 들어있다.  지혜로운 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7개 있고 털이 3기 있으며 중간정도 지혜로운 사람은 구멍이 5개, 털이 2개 있고, 지혜가 얕은 사람은구멍이 3개, 털이 하나 있다.  보통 사람의 심장 안에.. 2024. 7. 1.
오장육부에 대한 모든것 - 간의 기능과 간병증상및 치료법 오장육부에 대한 모든 것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장부의 형상과 기능, 속하는 것, 몸밖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장부의 상태와 병의 증상, 치료법과 양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오장(五腸)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오행의 진행순서에 따라 간, 심, 비, 폐, 신 순서로 보겠습니다. 간의 모양과 기능 간의 모양은 두 개의 큰 잎과 한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모양은 마치 나무껍질 갈라진 것과 같고  왼쪽에 3개, 오른쪽에 4개의 잎 모양으로 생긴 각 부분에는 경맥이 흐르고 있습니다.  간은 혼(魂)을 간직하고 있으며 생기를 발생시키는 곳으로 목(木)의 기운을 지니고 있습니다.  간은 아스팔트를 뚫고 피어나는 새싹처럼 저돌적인 추동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간을 장군의 장부 라고 하기도 합.. 2024. 6. 29.
오장육부란 오장(五腸)과 육부(六腑)는 우리 몸의 기본이자 의학의 기초로 다섯 개의 장(腸)과 여섯 개의 부(腑)를 말합니다. 오장은 간, 심장, 비장, 폐, 신장이고, 육부는 담, 소장, 위, 대장, 방광, 그리고 삼초입니다. 오운육기 (五運六氣) 오장육부는 모든 만물이 그러하듯, 음(陰)과 양(陽)으로 나뉩니다. 동서남북 4방(方)에 중앙 토(土)가 생기면서 5가 되었습니다. 중앙의 토는 에너지를 생산,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중토가 4행(行)들과 접속을 하면서 중심의 힘을 잃어버리고 상생상극작용을 하면서 계속 순환을 하게 됩니다. 하늘에서는 오행(五行)의 운동이 순수하게 일어나지만 땅에서는 항상 변수가 존재하며 땅에서 오행의 운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잉여의 힘이 필요합니다. 하여 하늘의 5에 잉여의 에너.. 2024.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