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위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위의 상태와
위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위장병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모양과 기능
위는 길이 1자 6치이고, 구부러져 있는 위를 똑바로 펴면 2자 6치 이입니다.
둘레는 1자 5치이고, 지름인 5치, 무게는 2근 14냥입니다.
위는 명치와 배꼽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위는 음식물을 3말 5되 받을 수 있는데, 곡식 2말과 물 1말 5되가 들어갈수 있습니다.
왕방의 주에서는 위에 대하여 시장같다고 했는데 ' 수곡이 들어가는 곳으로 오미(五味)가 모두 섞이므로
시장과 같다.' 라고 하였습니다.
위에서 받아들이는 음식의 오미는 각자가 좋아하는 장부로 가는데, 신맛은 간으로 가고, 쓴맛은 심장으로,
단맛은 비(脾)로, 매운맛은 폐로, 짠맛은 신장으로 먼저 갑니다.
보통 사람은 하루 두번씩 변을 보는데 한 번에 2되 반씩, 하루 5되를 내보냅니다.
그러므로 7일이면 3말 5되를 내보내게 되어 위속에 있던 음식물이 다 없어지는데 사람이 7일 동안 음식물을
먹지 않으면 위속에 있던 음식물과 진액이 다 없어지기 때문에 죽게 됩니다.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으로 오장육부의 바다와 같습니다.
음식물에서 생겨나는 기를 오장육부에 보냅니다.
위는 토(土)의 속성을 지닌 장부로 중토(中土)는 무극(無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재하지만 실체로 규정될수 없는 무위(無爲)로서 존재합니다.
위는 모든것을 포용하는 토의 속성으로 많은 종류의 음식물을 받아들여 영양분으로 만듭니다.
선천의 가장 중요한 장부가 신장이라면 후천의 가장 중요한 장부는 비장과 위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잘 먹고 잘 소화하는 일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는 주로 음식물을 받아들이고, 비장은 소화를 시킵니다.
물이 경(經)에 들어가면 피가 생겨나고, 음식물이 위로 들어가면 맥이 돌게 됩니다.
음식물이 위에 들어가면 위는 가득차고 장(腸)은 비게 됩니다. 반대로 장이 가득 차면 위가 비게 됩니다.
이렇게 가득차고 비고, 비었다가 가득 차기 때문에 기가 오르내리게 되므로 병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외관으로 알수 있는 위장의 상태
위장의 상태는 팔꿈치와 무릎뒤에 뭉쳐있는 살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곳이 단단하고 크면 위도 튼튼하고 이곳이 작으면 위도 작고 약합니다.
위장병의 증상
평상시보다 음식을 많이 먹으면 위와 장이 상하는데 위장이 상하면 얼굴빛이 노래지고 가슴과 배가 더부룩하고
아프며 구역질이 나고 메스껍게 됩니다.
또 몸이 여위고 노곤해져 눕기를 좋아하며 설사를 자주 하게 됩니다.
위속에 사기가 있으면 배가 불러오고 위완(胃脘 명치와 배꼽의 중간에 있는 위의 부위)에서부터 심장이 있는 곳까지
아프고 양쪽 옆구리가 치받치고 음식이 잘 넘어가거나 내려가지 않습니다.
또한 발등 위의 맥이 일어서 팽팽해지는데 이는 발등에 위맥인 족양명(足陽明)이 있기 때문입니다.
위장병의 치료
위장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음식조절을 잘하고 마음을 깨끗이 하여 잡생각을 없애 진기(眞氣)를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위가 실(實)할 때는 평위산을 쓰는데 평위란 위를 평안히 한다는 뜻입니다.
위가 허(虛)할 때는 보중익기탕을 쓰는데 보중익기는 가운데를 보하여 기운을 더 해준다는 뜻입니다.
이밖에 위장병에 쓰이는 단방(單方)으로는 칡뿌리, 붕어, 누런 암탉, 귤피(귤껍질), 대추, 토란, 곶감, 부추, 생강,
인삼 등이 있습니다.
'심심할때 보는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의 기능과 방광병의 증상 및 치료법 (0) | 2024.07.10 |
---|---|
대장의 기능과 대장병의 증상 및 치료법 (1) | 2024.07.09 |
소장의 기능과 소장병의증상및 치료법 (0) | 2024.07.07 |
오장육부-쓸개의 기능, 쓸개병 증상및 치료법, 쓸개에 좋은 약 (0) | 2024.07.06 |
계절에 따른 보양법 (1) | 2024.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