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좋은대운의 징조와 나쁜대운의 징조 사람은 10년 마다운이 바뀌는데 사주에서는 그것을 대운(大運)이 바뀌었다라고 합니다. 운이 바뀔때마다 나타나는 징조들이 있는데, 좋은 대운으로 바뀔 때와 나쁜 대운으로 바뀔 때의 징조를알아보겠습니다.    10년마다 바뀌는 대운은 사람에 따라 좋게 바뀌거나 좋지 않게 바뀌거나 하는데, 좋게 바뀌는 경우는 용신(用神),희신(喜神) 대운으로 바뀌는 것이고 좋지 않게 바뀌는 경우는 기신(忌神), 구신(仇神) 대운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용, 희신은 치우 처진 사주에 균형을 맞춰 중화시켜 주는 오행을 말하고, 기, 구신은 사주를 치우치게 만드는 오행입니다.  나의 대운이 용희신대운으로 좋게 바뀌는지 아니면 기구신 대운으로 좋지 않게 바뀌는지는 몇 가지 징조로 알 수 있습니다.  좋은 대운으로 바뀔때 나타나는 징.. 2024. 7. 12.
삼초의 기능과 삼초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삼초의 형상과 기능, 삼초병의 증상 및 치료법 그리고 삼초병에 좋은 음식을알아보겠습니다.   삼초의 형상 삼초는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 셋을 통틀어 일컬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삼초에 대하여 "형체는 없고 작용만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때문에 삼초의 형체나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가슴과 횡격막 위를 상초, 횡격막 아래와 배꼽 위를 중초,배꼽에서부터 발끝까지를 하초라고 하는 이도 있고, 기혈을 잘 돌게 하는 역할만 할뿐 뚜렷한 형태를 갖고 있지 않다고 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삼초의 형태에 대하여 말하자면 상초는 안개와 같고, 중초는 거품과 같으며, 하초는 도랑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상초는 양기(陽氣)를 내서 피부와 살 사이를 따뜻하게 하.. 2024. 7. 11.
방광의 기능과 방광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방광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 수 있는 방광의 상태와방광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방광에 좋은 음식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방광의 모양  방광은 위치는 아랫배에 있고 비어 있으며, 이곳으로 물을 담을 수 있으므로 진액의 창고라고 합니다.  위(上)에는 구멍이 나 있고 아래에는 구멍이 없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방광의 위에는 양 신장에서 연결된 요관이 열리는 구멍이 하나씩 있고, 아래에는 오줌을 내려보내는 요도와 연결된 구멍이 하나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장부의 구조는 직접 보고 관찰한 해부학적 관점에서 설명했다기보다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방광의 오줌은 배꼽아래 단전인 기해(氣海)의 힘을 받아야 나오는데 기가 제.. 2024. 7. 10.
대장의 기능과 대장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대장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대장의 상태와 대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대장병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의 모양  대장은 회장(廻腸) 또는 광장(廣腸)이라고도 하며, 길이는 2장 1척, 둘레는 8치, 지름 2와 3/2치, 무게는 2근 12냥이고 이것은 오른쪽으로 16굽이 감겨 있고 그 속에 곡물 2말과 물 7되 반을 담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위, 아래에 큰 주름이 있으며 아래의 끝은 항문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장과 소장에는 심장, 신장, 방광을 연결하는 줄이 있는데, 이 줄은 횡경막 아래와 척추의 근육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을 횡경막, 힘줄, 낙맥이 싸 덮고 있습니다.  이 작은 혈맥들은 기혈과 진액이 도는 길입니다. 대장은 폐와.. 2024. 7. 9.
위장의 기능과 위장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위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위의 상태와 위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위장병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모양과 기능 위는 길이 1자 6치이고, 구부러져 있는 위를 똑바로 펴면 2자 6치 이입니다. 둘레는 1자 5치이고, 지름인 5치, 무게는 2근 14냥입니다.  위는 명치와 배꼽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위는 음식물을 3말 5되 받을 수 있는데, 곡식 2말과 물 1말 5되가 들어갈수 있습니다.  왕방의 주에서는 위에 대하여 시장같다고 했는데 ' 수곡이 들어가는 곳으로 오미(五味)가 모두 섞이므로 시장과 같다.' 라고 하였습니다.  위에서 받아들이는 음식의 오미는 각자가 좋아하는 장부로 가는데, 신맛은 간으로 가고, 쓴맛은 심장으로, 단맛.. 2024. 7. 8.
소장의 기능과 소장병의증상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소장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소장의 상태와 소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소장에 좋은 약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장의 모양과 기능 소장의 길이는 3장 2척이고 둘레는 2촌 반이며 지름은 8과 3/1푼이고 무게는 2근 14량입니다.  소장은 배꼽에서 부터 왼쪽으로 첩첩이 16번 굽어서 돌아가며, 등뼈와 닿아 있습니다.  그 속에서는 곡물 2말 4되와 물 6되 하고도 3과 3/2홉을 담을 수 있습니다.  음식이 위(胃)로 들어오면 위에서는 일차적으로 음식에 있는 삿된 기운을 걸러냅니다.  그 후 우리는 음식물을 소장을 내려보내는데 위와 소장이 만나는 부위를 유문(幽門)이라고 합니다.  본격적인 소화가 소장에서 일어납니다.  소장은 위가 내려보낸 음식물을 .. 2024. 7. 7.
오장육부-쓸개의 기능, 쓸개병 증상및 치료법, 쓸개에 좋은 약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담의 형상, 기능, 몸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쓸개의 상태와 쓸개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쓸개에 좋은 약과 양생법을 알아봅니다.   쓸개의 모양과 기능 개는 검은색을 띠고 있고, 매달린 박의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쓸개는 간의 작은 잎 가운데에 붙어 있고 맑은 즙 세 홉을 담고 있으며 드나드는 구멍은 없습니다.  쓸개는 겨드랑이를 주관합니다.  쓸개는 간과 같은 목(木)의 장부 이지만 결단하는 일을 맡아 합니다.  쓸개의 결단력은 금(金)에 가까운데 그 이유는 쓸개가 금에서 생기기 때문입니다.  하여 쓸개가 약하면 우유부단하고 간도 건강하지 않습니다.  쓸개는 용감함을 주관하는데 쓸개가 상하면 잘 놀라거나 잘 두려워합니다.  얼굴빛이 푸른빛을 띠거나 빛을 잃은것은.. 2024. 7. 6.
계절에 따른 보양법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계절에 따라 다른 보양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계절에 맞추어 몸을 조리하라. 자연의 음양변화는 만물의 근본입니다. 낮이 있으면 밤이 있고, 따뜻한 봄이 있으면 추운 겨울이 있습니다. 음양은 다르면서 하나인데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되고 양이 극이 달하면 음이 됩니다. 음양은 끝없이 순환하면서 만물을 낳습니다. 자연의 한 부분인 사람도 이 음양의 변화를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면 병이 생기지 않고 오래 살 수가 있습니다. 사람은 낮에는 활동하고 밤에는 쉬어야 하는 주행성 동물입니다. 낮은 양기가 오르는 시간으로 낮에는 깨어서 활동을 해야 외부의 양기 덕분에 활동할수가 있고, 밤에는 음기가 오르는 시간으로 잠을 자고 휴식을 하면서기운을 수렴해야 다음날 아침에 다시 깨어나 활동할 수가 있는.. 2024. 7. 5.
신장의 기능과 신장병의 증상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신장의 형상과 기능, 속하는 사물들,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신장의 상태와 신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신장에 좋은 약과 양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신장의 형상과 기능 신장의 모양은 강낭콩 같이 생겼으며 두개로 서로 마주 보고 있는데 위치는 등에 붙어 있습니다. 겉은 검은 기름덩이에 덮여있고 속은 하야며 정(精)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신장은 각각 오행이 다른데, 왼쪽 신장은 수(水)에 속하며 남자는 왼쪽 신장이 근본이 되고, 오른쪽 신장은 화(火)에 속하며 여자는 오른쪽 신장이 근본이 됩니다. 신장 두개 지만 두 개 모두 신장이라 하지 않고 왼쪽에 있는 것을 신장, 오른쪽에 있는 것을 명문(命門)이라고 합니다. 명문은 정신이 머물고 원기가 생겨나는 곳이며 남자는 여기.. 2024. 7. 4.
폐의 기능, 폐병의 증상과 치료법 오장육부- 폐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폐의 형상, 기능, 속하는 사물들, 몸밖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폐의 상태와 폐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폐에 좋은 음식과 양생법을 알아봅니다.  폐의 형상폐의 형상은 사람 어깨와 비슷한 모양입니다.  퍼진 2개의 잎과 작은 잎 여러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속에는 맑은 기와 흐린기를 내보내는 24개의 구멍이 줄지어 있습니다.  폐는 모든 장부의 위에 있기 때문에 덮개라고도 합니다.  폐는 백(魄)을 간직합니다.  폐는 호흡을 하며 천기(天氣)를 받아들이는 첫 번째 관문입니다.  폐는 서늘한 금(金)의 기운으로 심장을 에워싸고 있으면서 심장의 위로 치솟는 화(火) 기를 흩어지지 않도록 가두어 줍니다.  가을의 건조한 금의 기운은 여름의 화기를 수렴하는데 여름.. 2024.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