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오장육부 -비장의 기능과 비장병의 증상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비장의 형상, 기능, 속하는 사물, 몸밖으로나타나는 비장의 상태와비장병의 증상,치료법과 양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비장의 형상과 기능 비장의 형상은 말발굽처럼 생겼고 위완(위(胃)의 빈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것은 토(土)의 모양을 본뜬 것입니다.  비장은 중완(위의 중앙)보다 위에, 심장보다 아래, 신장보다는 위에 있으며 중토(中土)로서 모든 곳으로 그 영향력을 전달합니다.  비장은 이처럼 몸의 중심에 있기에 도교에서는 비장을 황정(黃庭)이라고 합니다.  황색은 중앙의 색깔이고 뜰은 사방의 가운데입니다. 비장은 의(意)가 깃들어 있는 곳입니다.  비장은 피를 간직하고 오장을 따뜻하게 합니다.   비장은 위(胃)의 아래에 있으면서 위기(胃氣)를 도와 음식이 잘.. 2024. 7. 2.
오장육부- 심장의 기능과 심장병의 증상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심장의 형상과 기능, 속하는 것들,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심장의 상태와 심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심장에 좋은 양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심장의 형상심장의 모양은 피어나지 않은 연꽃같이 생겼는데 위는 크고 아래는 뾰족하며 폐에 거꾸로 붙어있고 심포락에 쌓여있습니다.  심장의 정신이 깃든 곳으로 신(神)을 저장하는 일을 주관합니다.  이에 관한 동의보감의 재미있는 설명이 있습니다.  심장에는 9개의 구멍이 있는데 여기에는 천진(天眞)의 기를 이끌어가는 정신이 들어있다.  지혜로운 사람은 심장에 구멍이 7개 있고 털이 3기 있으며 중간정도 지혜로운 사람은 구멍이 5개, 털이 2개 있고, 지혜가 얕은 사람은구멍이 3개, 털이 하나 있다.  보통 사람의 심장 안에.. 2024. 7. 1.
오장육부에 대한 모든것 - 간의 기능과 간병증상및 치료법 오장육부에 대한 모든 것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장부의 형상과 기능, 속하는 것, 몸밖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장부의 상태와 병의 증상, 치료법과 양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오장(五腸)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오행의 진행순서에 따라 간, 심, 비, 폐, 신 순서로 보겠습니다. 간의 모양과 기능 간의 모양은 두 개의 큰 잎과 한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모양은 마치 나무껍질 갈라진 것과 같고  왼쪽에 3개, 오른쪽에 4개의 잎 모양으로 생긴 각 부분에는 경맥이 흐르고 있습니다.  간은 혼(魂)을 간직하고 있으며 생기를 발생시키는 곳으로 목(木)의 기운을 지니고 있습니다.  간은 아스팔트를 뚫고 피어나는 새싹처럼 저돌적인 추동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간을 장군의 장부 라고 하기도 합.. 2024. 6. 29.
오장육부란 오장(五腸)과 육부(六腑)는 우리 몸의 기본이자 의학의 기초로 다섯 개의 장(腸)과 여섯 개의 부(腑)를 말합니다. 오장은 간, 심장, 비장, 폐, 신장이고, 육부는 담, 소장, 위, 대장, 방광, 그리고 삼초입니다. 오운육기 (五運六氣) 오장육부는 모든 만물이 그러하듯, 음(陰)과 양(陽)으로 나뉩니다. 동서남북 4방(方)에 중앙 토(土)가 생기면서 5가 되었습니다. 중앙의 토는 에너지를 생산,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중토가 4행(行)들과 접속을 하면서 중심의 힘을 잃어버리고 상생상극작용을 하면서 계속 순환을 하게 됩니다. 하늘에서는 오행(五行)의 운동이 순수하게 일어나지만 땅에서는 항상 변수가 존재하며 땅에서 오행의 운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잉여의 힘이 필요합니다. 하여 하늘의 5에 잉여의 에너.. 2024. 6. 27.
감정은 오장(五腸)과 관련된다. 감정이 지나치면 병이 된다 -칠정(七情) 감정은 어떻게 해서 오장과 관계가 있는가.  감정이 지나치면 왜 병이 되는가. 사람은 외부의 것을 받아들여 몸에 맞는 기운으로 기화(氣化)시켜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살아갑니다.  코로 공기를 들이마시면서 천기(天氣)를 받아들이고,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지기(地氣)를 얻습니다.  천기와 지기 모두 외부의 낯선 것으로 몸 안에서 빠르게 기화가 이루어집니다.  외부에서 받아들이는것이 꼭 천기와 지기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천지만물과의 관계, 사람들과의 관계로 생긴 기운도 기화가 되어 풀려서 해체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못하면 몸안에 쌓여 상처나 스트레스가 되는데, 이런 병리적 감정들을  한의학에서는 칠정(七情)이라고 합니다.   감정은 오장(五腸)과 관련된다.  감.. 2024. 6. 25.
대운에서 오는 십신에 따른 상황과 전략 대운과 소운  사주 원국 다음으로 명주(命主)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10년마다 바뀌는 대운(大運)입니다.  대운은 천간과 지지가 합쳐 10년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 10년 대운을 5년씩 2개로 쪼개 소운(小運)이라고 하는데 대운의 천간에 해당하는 기운이 1~5년동안 영향을 미치고 지지에 해당하는 기운이 6~10년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대운에서 어떤 십신이 오는지 잘 살펴 전략을 잘 짜야 나에게 오는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대운에서 오는 십신에 따른 상황과 전략 비겁대운 비겁은 나와 같은 오행의 글자로 대운에서 비겁이 온다면 이 시기에는 자기가 하는 일에 전문성을 키우는 시기가 됩니다.  협업, 동업의 환경을 구축하여 리스크를 낮추고 그 안에서 리더쉽을 키워나가며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 2024. 6. 23.
12신살의 권력 분포도 12 신살 사용법 12 신살은 명칭이 신살(神殺)이라 부정적으로 느껴질 수 있겠지만  단순히 길흉이 아닌 능동적인 개운법등으로 다양하게 적재적소에 잘 사용하면 남들보다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12 신살은 삼합운동의 궤도라 할 수 있는데, 나의 상위그룹, 나와 동일그룹, 하위그룹과 반대그룹으로 나뉩니다.  장사하는 사업자의 경우 직원을 채용할 때는 자신의 아랫그룹의 띠의 사람을 직원으로 채용하면  전생에 아랫사람이었기 때문에 말을 잘 듣고 편한 사람이 됩니다.  반대로 나의 윗그룹의 띠의 사람을 직원으로 채용하면 전생에 윗사람이었기 때문에 말을 잘 안 듣고 윗사람 노릇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12 신살 상위그룹, 동일그룹, 하위그룹, 반대그룹상위그룹은 천살그룹.. 2024. 6. 22.
건강과 재물운을 부르는 반지 착용법 반지는 단순한 장신구 이상의 의미가 있다.   건강과 재물운을 부르는 반지 착용법은 따로 있습니다.나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착용하는 목걸이, 팔찌, 반지 등은 무심코 착용하기보다는  의미와 목적, 소망을 담아 바르게 착용을 하면 건강과 번영을 가져다 주는 부적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수상론에서 반지는 부와 번영을 만든다고 하는데요,  운이 잘 안 풀릴수록 반지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반지를 바르게 착용을 하면 기혈의 순환이 바르게 이루어지고, 기혈의 순환이 바르게 이루어 지면 잘못된 선택보다는 바른 선택을 하게 되고 명확한 판단력을 갖게 되기 때문입니다.  반지의 착용법은 건강을 위한것과 재물운을 위한 것이 있습니다.   건강을 위한 반지 착용법 각각의 손가락은 오장(五腸).. 2024. 6. 21.
얼굴로 병을 진단하는 법 오장(五腸)의 상태는 얼굴에 드러난다.  한의학에서 환자를 진단할 때는 맥을 짚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 외에도 목소리나, 몸짓, 얼굴 등등 으로도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얼굴은 그 사람의 오장육부의 상태를 알려주는 확실한 내비게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전반적인 얼굴의 색깔과 특정부위의 색깔로 오장의 상태를 알아낼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의 얼굴생김세가 제 각각 다른 것은 오장육부의 상태가 모두 같지 않고 다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얼굴 각 부위는 위치에 따라 오행에 배속됩니다.  코를 중심으로 왼쪽부분은 목(木)으로 간이 되고, 오른쪽 부분은 금(金)으로 폐가 됩니다.  그리고 윗쪽부분은 화(火)로 심장이 되고, 가운데 부분은 토(土)로 비(脾)가 되며, 아랫부분은 .. 2024. 6. 20.
탈모의 원인과 치료법 탈모는 혈(血)의 부족으로 생긴다.요즘 젊은 나이에도 머리카락이 빠지는 탈모증 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 머리털이 빠지고 하얗게 세는것은 정상이지만, 젊어서 머리카락이나 수염이 빠지는것은 정상적인 현상이 아닙니다.  탈모의 원인은 스트레스나 좋지못한 생활습관과호르몬의 불균형, 유전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동의보감에서는 탈모증이 '혈(血)의 부족'으로 인하여 생긴다고 봅니다.  신(腎)은 머리카락을 주관한다. 머리카락은 오장 중에 신(腎)이 주관하는데 신장의 상태가 머리카락으로 표현되며, 또 머리카락은 혈의 나머지이고, 머리카락의 상태가 몸안의 혈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혈이 성하면 머리카락이 윤기가 있고, 혈이 부족하면 머리카락이 푸석푸석하고 윤기가 없으며,.. 2024.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