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9

어린아이가 변하면서 성장하는것-변증후(變蒸候) 어린아이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을 하며, 성장을 하면서 성장통을 겪게 됩니다. 아이가 자라는 것을 용이 껍질을 벗듯 자란다고 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어린아이의 성장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변증후(變蒸候) 어린아이는 뼈가 자라고 이가 나면서 성장을 하는데 이를 동의보감에서는 '마치 누에가 잠을 자고 용이 껍질을 벗고 범이 발톱을 가는 것과 같이 변하면서 자라는것.' 이라고 하였습니다.  아이가 성장하는 것을 변하고 훈증한다고 하는데 이를 변증후(變蒸候)라고 합니다.  변은 기가 오르는 것을 말하고 증은 몸에 열이 나는것으로 변증이 다 끝나면 이가 나오고 말을 할 줄 알게 됩니다.  변증은 32일에 한번씩 일어나며 완전수가 10번 변하는 것으로 완결됩니다.  10번의 변증과정에 .. 2024. 8. 13.
소아의 병은 성인보다 치료하기 어렵다. 어린아이의 병은 성인과는 다르게 치료하기 가장 힘들고 까다롭습니다.  동의보감에서도 어린아이의 병과 치료에 대하여 매우 자세하게 다뤘습니다.  어린아이의 병은 성인보다 치료하기 어렵다. 어린아이는 어른처럼 말을 제대로 잘하지 못하기 때문에 증상을 잘 설명하지 못하고, 아파도 어디가 아픈지 잘 모릅니다.  또한 어린아이는 오장육부, 피부와 뼈가 튼튼하지 못하고 연약하며, 경락이 실 같고 혈기가 약하고, 맥이 뛰는 것과 숨 쉬는 것이 약해 허증과 실증이 잘 나타나기도 하고, 열이 쉽게 나거나 싸늘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린아이의 병은 치료하기가 성인보다 더 어려운데, 동의보감에서도 '남자 열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보다 부인 한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 어렵고, 부인 열 사람의 병을 치료하기 보다 어린아이 한 .. 2024. 8. 12.
지지(地支)의 여러가지 상징 한 가지 기운으로 순일한 천간과는 달리 지지는 복잡하고, 다양한 기운으로, 땅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그런 것처럼지지에도 복잡 다양한 많은 것들이 담겨 있습니다. 지지가 상징하는 것을 장소, 인물, 사람신체, 동식물과 길흉작용등으로 적어놓았습니다.   자(子)- 오행으로는 음수(陰水), 방위는 북쪽, 장소는 연못, 강, 물과 관계있는 장소, 인물로는 부녀, 도적, 사람신체로는신장, 방광, 혈(血), 동물로는 쥐, 제비, 박쥐, 달팽이, 식물로는 고구마, 무, 부평 길한 작용으로는 총명함, 흉한 작용으로는 음일(淫佚 : 칠정(七精)을 제어하지 못하고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하는 것) 축(丑)-오행으로는 음토(陰土), 방위는 동북쪽, 장소는 뽕나무밭, 다리, 궁전, 예당(禮堂), 무덤, 인물로는 귀인, 군자,.. 2024. 8. 9.
열달동안 태아가 자라는 과정 출산은 산모와 태아의 목숨이 달려있는 일이었기 때문에 한의학에서는 일찍이 산과(産科)를 중요하게 다뤘습니다. 동의보감에서도 열 달 동안 태아가 어머니의 뱃속에서 자라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는데, 태아의 성별이 정해지는 시기, 그리고 오장육부가 생기는 시기등을 다음과 같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열달동안 태아의 성장 과정12 경맥 중 월경과 모유를 주관하는 수태양경맥과 수소음경맥을 제외한 열 가지 경맥이 30일씩 태아를 기르는데관여를 합니다.  임신 1개월째 족궐음경맥이 태아를 기릅니다.  아버지의 정(精)과 어머니의 혈(血)이 충맥(衝脈)의 기운에 의해 9일동안 쉬지 않고 돌면서 음양(陰陽)이 화합되고검은 것과 누른 것이 서로 싸여 겉보기에는 마노에 실 감은 것 같이 되는데, 그 속은 비었고 달.. 2024. 8. 8.
임신과 해산 동의보감에서  임신과 출산에 관한 방법과 아이를 가질 때 주의할 것, 그리고 태아의 성별이 결정되는 것과 쌍둥이가태어나는 이유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임신을 잘하기 위해서는 여자의 월경을 고르게 하라.  임신을 잘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이 있는가 에 대해서 동의보감에서는 우선 '여자의 월경을 고르게 하라.'라고 하였습니다.  임신을 하지 못하는 여자의 경우 월경 날짜가 불규칙 하고 월경의 양이 많거나 적으며 월경전후로 아픕니다.  이렇게 월경이 고르지 못하면 기혈이 조화되지 못하므로 임신을 할 수가 없습니다.  월경이 고르지 않아 임신이 잘 되지 않는 여자는 어떤 여자인가.  성질이나 품행이 나쁘고 얼굴이 험상궂게 생기거나 곱게 생긴 여자, 또 너무 뚱뚱하거나 너무 마른 여자.. 2024. 8. 6.
월경이 나오지 않는 이유 월경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월경이 나오지 않는 이유와 부인병에 대하여알아보겠습니다.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  월경이 나오지 않는 이유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월경과 출산을 주관하는 임맥과 충맥에 피가 잘 돌지 않으면 피가 엉겨 딱지가 집니다.  또한 젊어서 피를 많이 흘렸거나, 술에 취한 다음 성생활을 하여 기운이 쇄약해지고 간이 상하면 피가 마르게 됩니다.  그러면 월경이 적게 나오거나 아예 나오지 않는데 이렇게 피가 엉겨서 딱지가 지거나 피가 마를 때는 처방으로 귀출파징탕과 오적골환 등을 씁니다.  또한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경우로 위(胃)가 약하여 열이 몰리면 몸이 마르고 기혈이 쇄하여 진액생성에 문제가 생기는데, 진액이 부족하면 혈도 부족 해집니다... 2024. 8. 5.
포(胞)와 월경 포(胞)는 오장육부에 속하지는 않으나 생명을 탄생시키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오장육부는 오행에 배속되지만 포는 어떤 오행에도 속하지 않는 유일한 장부입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포와 월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포는 자궁을 뜻하지만 넓게는 단전(丹田)과 명문(命門)으로 보기도 합니다. 단전은 정이 저장되는 곳이고, 명문은 양기가 생성되는 곳으로 양기는 정으로부터 생성됩니다. 포의 음적영역에서 생명의 양기가 탄생한다는 점에서 포를 단전이나 명문과 같이 보는 것입니다. 남자는 포 안에 정을 저장했다가 내보내고 여자는 포 안에서 태아를 기릅니다. 월경과 임신 달의 주기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달이 차기 시작했을때 혈기가 모이기 시작하고, 달이 완전히 차오르면 살이 단단해지며, 달이 기울.. 2024. 8. 4.
입을 통하여 나타나는 모든 현상-언어 언어는 단순히 말하는것 뿐만이 아니라 노래, 웃음, 울음, 재채기, 하품등 입을 통하여 나타나는 모든 현상을 말합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언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폐가 소리를 주관하며 말이 되게 한다.  동의보감에서는 난경의 설을 받아들여 "폐는 모든 소리를 주관하고 간이 소리를 받아들여 외치게 하고 신이 소리를받아들여 신음소리가 되게하고 폐 자체가 소리를 받아서 울음소리가 되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오장 모두 소리와 관련 있지만 특히 폐가 소리를 주관하여 말이 되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헛소리를 하는것도 병이다.   스스로 하는 말을 언(言)이라고 하고 다른 사람의 물음에 답하는 것을 어(語)라고 합니다.  일상의 일들을 혼자 중얼거리고, 눈을 부릅뜨고 남이 보지도 듣지도 못한 일을 .. 2024. 8. 1.
목소리로 병증을 분별한다. 한의학에서는 목소리를 단지 목이라는 부위에서 생기는 것으로 보지 않고 오장과 연결시켜 설명합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목소리, 목소리와 오장육부의 관련성, 목소리로 병증을 아는 것, 그리고 목소리 잘 나오게하는 처방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심은 목소리의 주인이고 폐는 목소리의 문이며, 신은 목소리의 뿌리다.  목소리는 신(腎)에서 근원하며 폐는 목소리가 나오는 문이고, 심장이 목소리를 관장한다고 봅니다.  직지에서는 "심은 목소리의 주인인고, 폐는 목소리가 나오는 문이며, 신은 목소리의 뿌리다."라고 하였습니다.  말을 하려면 먼저 정신활동이 있어야 하며 정신활동은 신(神)의 작용으로 신은 심장이 주관하므로 목소리의 주인은 심장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목소리는 공기와 만나야 전달이 되는데, 몸안에 있.. 2024. 7. 30.
인체의 모든 수분 진액(津液) 한의학에서 말하는 진액은 인체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말합니다. 눈물, 땀, 침, 콧물 등 이 중에서 땀을 중시하는데, 땀으로 몸의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진액, 그리고 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진액은 인체에 존재하는 모든 수분을 말하는 것으로 진(津)은 피부 주위의 조직에 공급되는 수분으로 땀처럼 비교적 많은 수분을 말하며 액(液)은 뼛속으로 스며들어가 뼈의 굴신이 잘되도록하는 관절액이나 뇌척수액처럼 농도가 짙은 수분을 말합니다.  진액을 주관하는 것은 오장육부중 대장과 소장입니다.  위(胃)로부터 영양분을 받아 진액을 위쪽으로 올려 피모(皮毛)에 공급, 땀구멍을 튼튼하게 해줍니다.   주자(朱子)는 "음과 양이 합쳐져 생기는 것은 수(水)와 화(火)이며 이 둘은 모두.. 2024.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