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심할때 보는 동의보감43

생명의 원천, 기(氣)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정(精)과 신(神)의 뿌리인 기(氣)에 대하여, 그리고 기를 수련하여 무병장수하는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精)과 신(神)의 원천기는 정과 신보다 먼저 생겨나며 정과 신의 뿌리입니다.정은 몸의 물질적인 토대, 즉 육체이고, 신은 영적활동 즉 정신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기를 정의 아버지이며, 신의 할아버지 라고 하였습니다.  사람의 몸은 정, 기, 신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의 본원지는 어디인가.배꼽아래 단전에 있다고도 하고, 두 신장(腎腸) 사이에 있다고도 합니다.   기는 음식물의 영양분으로부터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氣)라는 글자에는 쌀 미(米)자가 들어있는 것입니다.  기를 주관하는 것을 폐입니다.  음식이 몸에 들어오면 몸에서는 음식을 .. 2024. 7. 17.
몸의 근본, 정(精)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정(精)에 대하여, 그리고 정을 보하는 방법과 정을 보하는 처방과 정을 보하는운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정은 몸의 근본으로 사람에게 가장 귀한 것이다.  정은 몸의 근본으로 정이 생성되는 것은 남녀의 신(神)이 만나 하나의 형체를 이루며, 그 형체가 몸으로 완성되기 전에먼저 생깁니다.  이것은 '선천의 정'이라고 합니다.  또한 오곡의 영양분도 정을 만드는데 이것을 '후천의 정'이라고 합니다.  정은 우리몸의 모든 물로 진액, 혈액, 눈물, 콧물, 정액, 오줌등으로 존재하며 좀 더 밀도가 높은 형태로는 골수, 뇌, 더 응축되면 뼈가 됩니다.  그 중 정액은 생명을 탄생시키는 생명의 원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명을 유지하는 지극히 중요한 것으로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며.. 2024. 7. 16.
두통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머리와 두통의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머리는 하늘을 나타낸다.  머리는 정신작용이 일어나는 곳으로 사람의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 중 하나입니다.  머리의 둘레는 2자 6치이고, 머리끝에서 턱까지의 길이는 2자 2치, 두 귀뒤에 도드라져 나온 사이의 너비는 9치 이고, 두 귀 앞쪽사이의 길이가 1자 3치 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뇌를 골수의 바다라고 표현하며 뇌가 꼬리뼈까지의 골수를 관장한다고 하였습니다.  골수는 생명력과 관련되어 있는데, 골수가 충실하면 몸이 튼튼하고 가벼우며 힘이 셉니다.  머리에서 일어나는 정신작용에 대하여 동의보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하늘의 골짜기는 조화작용을 포함하고 빈 공간을 품고 있다.  땅의 골짜.. 2024. 7. 15.
살찌는법과 살빼는 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살과 살이 찌는 법과 살이 빠지는 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비장이 건강하면 살이 잘 붙는다. 살은 오장(五腸) 중에 비(脾)가 주관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비가 기(氣)와 혈(血)을 낳으며, 살을 주관한다고 봅니다. 위장과 소장에서 소화과정을 거치며 모이는 수곡의 영양물질은 모두 비로 오므로 비가 건강하면 살이 잘 붙습니다. 이것에 대하여 동의보감에서는 '기와혈이 모두 넘치면 살이 찌고, 때깔이 나며, 기는 남지만 혈이 부족하면 살만 찌고 때깔이 없게 되며, 기와 혈 모두 부족하면 홀쭉해지며 때깔도 나지 않는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살은 특징적인 부분이 있는데, 한곳은 계곡과 같이 움푹 파인 곳으로 이곳은 곡식으로부터 받은 맑은 기운인 영기(榮氣)와 탁한 기운인 위기(.. 2024. 7. 14.
복통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법 가장 흔한 증상 중에 하나인 복통에 대하여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하여알아보겠습니다.   복통의 원인과 증상  동의보감에서는 배에 대하여 이렇게  설명합니다.  명치에서 천추(天樞)까지의 길이는 8치이다.  천추 두열은 배꼽에서 좌우로 각각 2치씩 나가 있다.  천추에서 황골까지의 길이는 6치반이다.  황골의 길이도 6치 반이다.  배는 배꼽을 중심으로 위쪽은 대복(大腹), 아래쪽은 소복(小腹), 배꼽 주위는 제복(臍腹)이라고 합니다.  윗배가 아픈 이유는 주로 외부의 사기가 침범하거나 음식을 잘못 먹고 체하는 경우입니다.  배꼽주위가 아픈 이유는 담(痰)으로 인한 화기(火氣)때문이며, 아랫배가 아픈 이유는 담과 오줌이 잘 나가지않기 때문입니다.  복통은 가장 흔한 증상의.. 2024. 7. 13.
삼초의 기능과 삼초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삼초의 형상과 기능, 삼초병의 증상 및 치료법 그리고 삼초병에 좋은 음식을알아보겠습니다.   삼초의 형상 삼초는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 셋을 통틀어 일컬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삼초에 대하여 "형체는 없고 작용만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때문에 삼초의 형체나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가슴과 횡격막 위를 상초, 횡격막 아래와 배꼽 위를 중초,배꼽에서부터 발끝까지를 하초라고 하는 이도 있고, 기혈을 잘 돌게 하는 역할만 할뿐 뚜렷한 형태를 갖고 있지 않다고 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삼초의 형태에 대하여 말하자면 상초는 안개와 같고, 중초는 거품과 같으며, 하초는 도랑과 같다고 하였습니다.  상초는 양기(陽氣)를 내서 피부와 살 사이를 따뜻하게 하.. 2024. 7. 11.
방광의 기능과 방광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방광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 수 있는 방광의 상태와방광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방광에 좋은 음식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방광의 모양  방광은 위치는 아랫배에 있고 비어 있으며, 이곳으로 물을 담을 수 있으므로 진액의 창고라고 합니다.  위(上)에는 구멍이 나 있고 아래에는 구멍이 없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방광의 위에는 양 신장에서 연결된 요관이 열리는 구멍이 하나씩 있고, 아래에는 오줌을 내려보내는 요도와 연결된 구멍이 하나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장부의 구조는 직접 보고 관찰한 해부학적 관점에서 설명했다기보다는 기능적인 관점에서 설명한 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방광의 오줌은 배꼽아래 단전인 기해(氣海)의 힘을 받아야 나오는데 기가 제.. 2024. 7. 10.
대장의 기능과 대장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대장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대장의 상태와 대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그리고 대장병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대장의 모양  대장은 회장(廻腸) 또는 광장(廣腸)이라고도 하며, 길이는 2장 1척, 둘레는 8치, 지름 2와 3/2치, 무게는 2근 12냥이고 이것은 오른쪽으로 16굽이 감겨 있고 그 속에 곡물 2말과 물 7되 반을 담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위, 아래에 큰 주름이 있으며 아래의 끝은 항문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장과 소장에는 심장, 신장, 방광을 연결하는 줄이 있는데, 이 줄은 횡경막 아래와 척추의 근육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을 횡경막, 힘줄, 낙맥이 싸 덮고 있습니다.  이 작은 혈맥들은 기혈과 진액이 도는 길입니다. 대장은 폐와.. 2024. 7. 9.
위장의 기능과 위장병의 증상 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위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위의 상태와 위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위장병에 좋은 음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모양과 기능 위는 길이 1자 6치이고, 구부러져 있는 위를 똑바로 펴면 2자 6치 이입니다. 둘레는 1자 5치이고, 지름인 5치, 무게는 2근 14냥입니다.  위는 명치와 배꼽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위는 음식물을 3말 5되 받을 수 있는데, 곡식 2말과 물 1말 5되가 들어갈수 있습니다.  왕방의 주에서는 위에 대하여 시장같다고 했는데 ' 수곡이 들어가는 곳으로 오미(五味)가 모두 섞이므로 시장과 같다.' 라고 하였습니다.  위에서 받아들이는 음식의 오미는 각자가 좋아하는 장부로 가는데, 신맛은 간으로 가고, 쓴맛은 심장으로, 단맛.. 2024. 7. 8.
소장의 기능과 소장병의증상및 치료법 한의학과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소장의 모양과 기능, 몸 밖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살피는 소장의 상태와 소장병의 증상과 치료법, 소장에 좋은 약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장의 모양과 기능 소장의 길이는 3장 2척이고 둘레는 2촌 반이며 지름은 8과 3/1푼이고 무게는 2근 14량입니다.  소장은 배꼽에서 부터 왼쪽으로 첩첩이 16번 굽어서 돌아가며, 등뼈와 닿아 있습니다.  그 속에서는 곡물 2말 4되와 물 6되 하고도 3과 3/2홉을 담을 수 있습니다.  음식이 위(胃)로 들어오면 위에서는 일차적으로 음식에 있는 삿된 기운을 걸러냅니다.  그 후 우리는 음식물을 소장을 내려보내는데 위와 소장이 만나는 부위를 유문(幽門)이라고 합니다.  본격적인 소화가 소장에서 일어납니다.  소장은 위가 내려보낸 음식물을 .. 2024.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