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9

tvN주말 드라마 정년이 4화 감상평 -매란국극단에서 쫓겨난 정년이 2,3편은 서울로 가 매란국극단에 입단한 정년이의 생활을 그렸는데요. 오디션에서는 연기와 춤은 모자라도 '소리'로 만점을 받은 정년이는 합격을 하게 됩니다. 그렇지만 소리로만 점수를 얻었기 때문에 실력으로 인정을 받아야 정식 합격으로 인정이 됩니다. 어쨌든 매란국극단에 입단을 하게 된 것이죠. 하지만 정년이가 매란국극단의 왕자인 문옥경 빽으로들어왔다는 소문과(실제로 문옥경이 목포에서 데리고 왔지만) 목포에서 생선을 팔며 살았다는 정년이를 국극단의 연습생들은 질투하며 무시합니다. 국극단의 연습생들은 돈이 많은 집안의 딸들도 있었죠. 아이들의 질투와 무시에도 정년이는 특유의 씩씩함으로 전혀 기죽지 않고 오히려 자신을 무시하는 아이들을 조져, 아니 이겨먹으며 친구도 사귀고 열심히 춤과 연기, 소리를 연습하며 .. 2024. 10. 22.
한국내(內) 지역별 간지(干支) 이번에는 우리나라 지역별 간지(干支)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자신의 사주에 부족한 기운이 있는 지역으로 이사를 가거나 거주를 하게 되면 일이 잘 풀리고 건강도 좋아질 수 있습니다.  개운법이라고도 할수 있죠.  한국 내 간지(干支) 서울 - 甲寅 대전 - 戊辰 부산 - 甲午 평양 - 戊寅 인천 - 辛卯 김포 - 辛亥 목포 - 乙亥 춘천 - 甲子 대구 - 戊戌 마산 - 丙戌 광주 - 丙寅 청주 - 寅申 창원 - 丙寅 여수 - 丁亥 동해 - 乙亥 서해 - 辛亥 남해 - 丁亥 분당 - 乙巳 광양 - 丙午 신의주 - 壬子 서울 내 구(區) 별 간지 강동구 - 壬寅 강남구 - 壬午 강북구 - 壬子 관악구 - 甲戌 광진구 - 乙亥 구로구 - 庚戌 노원구 - 癸丑 도봉구 - 戊申 동대문구 - 乙卯 동작구 - 乙.. 2024. 10. 22.
tvN 주말 드라마 '정년이' 1화 감상평 아무리 생각해도 김태리 배우의 작품 보는 눈은 정말 범상치가 않다고 생각해요. 작품에서 맡은 캐릭터도 겹치는 경우도 없고, 그 캐릭터 자체가 되는 것 같은 정말 배우를 하기 위해 태어난 사람. 아 이건 제가 김태리 배우 팬이라서 대놓고 이렇게 찬양글을. 어쨋든 이번에도 대단한 작품 하나 나왔네요. TVN에서 지난주 주말부터 시작한 드라마 정년이 리뷰를 할 건데요. 뭐 리뷰라기 보다는 그냥 주절거림이 더 맞는듯합니다. 정년이는 서이레, 나몬 작가의 네이버 웹툰이 원작이라고 하는데, 나중에 웹툰도 한번 봐야겠습니다. 때는 1950년대 한국전쟁이 끝난후 목포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씩씩한 소녀 정년이는 어머니와 언니와 함께 시장에서 생선을 팔며 살아가고 있죠. 그런데 정년이는 평범한 소녀가 아니었어요. 바.. 2024. 10. 18.
대구 이시아 폴리스 쇼핑몰에서 처음본 아이스크림 자판기 일요일 시스터가 옷을 산다기에 대구에는 유명한 이시아 폴리스라는 쇼핑몰이 있다길레 오후 2시에 늦어도 한참 늦은 점심을 먹고 이시아 폴리스에 도착을 하였습니다.사진이 딱히 없는 이유는 옷에 별 관심이 없는데다 옷을 사는 목적은 저의 시스터의 목적이었으므로.어쨌든 영혼없이 둥둥 떠 다니는 유령처럼 다니는데 저의 눈을 사로잡는 머신이 있었으니 바로 아이스크림자판기였던 것이었습니다.  오잉저는 처음에 이게 그냥 옷 가게 에서 디스플레이 해 놓은 건줄 알았어요.그런데 진짜 아이스크림을 판매할수 있게 돼어있지 뭡니까.  (그것도 카드결제로)아이스크림의 종류도 12가지나 있었어요.세상에 수박샤벳이라니, 서울촌년은 그저 감탄을 연발하며 수박샤벳을 누르고 카드 결제를 하였지요. 포장지에 들어 있는 온전한 모습으로 사진.. 2024. 10. 14.
우리나라 지역별 오행(五行)과 각 나라별 오행 우리나라 지형에서 중앙인 대전은 토(土)의 기운이 강하고 동북쪽인 강원도는 수(水) 기운과 목기운이, 경상북도쪽은 목의 기운이 강한 지역입니다. 더 북쪽으로 올가면 수기운이 강해집니다. 그리고 서쪽인 전라도 , 충청도는 금(金)의 기운이 강한 지역입니다. 남쪽인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는 화(火) 기운이 강한 지역입니다. 제주도는 수와, 화, 그리고 토의 기운이 강한 지역입니다. 우리나라 내에 오행간지도 모두 다르며 각 지역의 간지는 각각 서울은 갑인(甲寅), 동해안은 을해(乙亥), 서해안은 신해(辛亥), 남해안은 정해(丁亥), 부산은 (甲午)입니다. 우리나라는 목(木)의 기운이 강한 나라입니다. 자존심이 강하고 부러질지언정 휘어지거나 굽힐 줄 모르는 기개가 있죠. 반면 옆나라인 일본은 수(水)의 기운이 강한.. 2024. 10. 14.
경기도 시 군별 오행 오늘은 어제에 이어 경기도 시 군별 오행에 대하여알아보겠습니다.  고양시(高陽市) - 목(木)가평군(加平郡) - 수(水)김포시(金浦市) - 금수(金水)광주시(廣州市) - 토(土)광명시(光明市) - 화(火)군포시(軍浦市) - 금수(金水)과천시(果川市) - 목(木)구리시(九里市) - 토금(土金) 남양주시(南楊州市) - 화(火)동두천시(東豆天市) - 목(木) 부천시 - 토수(土水)성남시(城南市) - 화토(火土)수원시(水原市) - 수(水)시흥시(始興市) - 수(水) 용인시(龍仁市) - 토금(土金)안산시(安山市) -토(土)의정부시(議政府市) - 금(金)이천시(利川市) - 목(木)오산시(烏山市) - 목(木)양주시(楊州市) - 목(木)안성시(安城市) - 토(土)의왕시(義王市) - 금(金)양평군(楊平郡) - 수목(水木.. 2024. 10. 9.
서울시별 오행(五行) 누구나 사주를 고르게 타고나는 사람은 없습니다. 항상 모자라거나 태과하게 타고나지요.  그렇다고 태과하거나 모자란 사주대로 살아갈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필요한 기운을 찾아 움직일수 있으니까요. 같은 서울 시내안에서도  각기 다른 오행의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의 사주에 물이 필요하다면 물기운이  충분히 있는 지역으로 가며 될 것이고, 불기운이 필요하다면 불기운이충분히 있는 지역으로 가면 되는 것입니다. 나에게 필요한 오행의 기운이 충분히 채워지는 순간 모든일은 자연스럽게 흘러가게 될 것입니다.  서울시 구별(區別) 오행(五行) 강북구(江北區) - 수(水) 강서구(江西區) - 금(金) 강남구(江南區) - 화(火) 강동구(江東區) - 목(木) 구로구(九老區) - 금(金) 금천구(衿川區) - 목.. 2024. 10. 8.
소아허약증-감병(疳病) 성장을 해야 하는 어린아이가 날이 갈수록 여위고 마르는 것은 병증이므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소아의 허약증에 대한 설명과 증상, 그리고 처방을 싣고 있습니다. 소아 허약증 감(疳)은 마른다는 뜻으로 어린아이가 날이 갈수록 여위고 마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기혈이 허약하여 오장육부가 상하기 때문에 생기며 20세 이전에 마르는 것을 감이라고 하고,  20세 이후에 마르는것을 노(勞)라고 합니다.  감병은 대체로 세 가지 형태의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첫째 머리털이 까슬까슬하고 성글며, 머리의 피부가 팽팽하면서 번질번질하고, 코가 마르며, 입술이 희고, 뺨에 주름이 집니다.  또한 눈이 침침하고 코를 문지르거나 눈을 비빕니다.  둘째 등뼈들이 나타나고 손톱을 물어 뜯고 이를 갈며, 입안.. 2024. 8. 20.
소아의 열(熱) 열은 소아에게 흔하고 자주 일어나는 병증 중 하나인데, 열이 나는 원인과 증상은 여러 가지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소아 열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처방을 싣고 있습니다.  소아열의 종류는 여러가지 인데 오장열(五腸熱)인 간열, 심열, 비열, 폐열, 신열이 있고 이밖에 조열, 태열, 골증열, 담열,학열, 풍한열, 장열, 실열, 허열 등이 있습니다.  간열(肝熱) 간에 열이 있는 것으로 간열이 있으면 왼쪽 뺨이 붉고 옷섶을 만지거나 물건을 주무릅니다.  이때는 처방으로 사청환(瀉靑丸)을 씁니다.  심열(心熱) 상초(上焦)에 열이 있는 것으로 이마에 붉은빛이 돌고 머리를 흔들며 이를 악 물기도 합니다.  또한 입김이 덥고 눈을 위로 치뜨기도 합니다.  이때는 처방으로 도적산(導赤散)을 씁니다.  비열(脾熱) 비장.. 2024. 8. 17.
소아의 병을 진단 하는 법 소아는 어른처럼 자신이 아픈 곳을 잘 표현하지 못하므로 소아의 변화를 잘 살펴보고 아픈 곳을 알아낼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의 안색을 잘 살펴보거나, 목소리를 듣는등의 방법으로 아이의 병을 알아낼 수 있는데, 동의보감에서는 여러 가지소아의 병을 진단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소아의 병을 진단하는 방법  소아의 병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맥을 보는 방법, 안색을 살펴보는 방법, 눈동자를 보는 방법, 목소리를 듣는 방법, 그리고 두 번째 손가락의 3관을 보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두번째 손가락의 3관을 보는 방법은 호구삼관맥법(虎口三關脈法)이라고 하며 삼관은 두번째 손가락 안에 나타나는 실 같은 핏줄을 말하며 남자는 왼쪽손가락을, 여자는 오른쪽 손가락을 봅니다.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를 풍관(風關),.. 2024. 8.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