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리불순원인1 포(胞)와 월경 포(胞)는 오장육부에 속하지는 않으나 생명을 탄생시키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오장육부는 오행에 배속되지만 포는 어떤 오행에도 속하지 않는 유일한 장부입니다. 동의보감에서 설명하는 포와 월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포는 자궁을 뜻하지만 넓게는 단전(丹田)과 명문(命門)으로 보기도 합니다. 단전은 정이 저장되는 곳이고, 명문은 양기가 생성되는 곳으로 양기는 정으로부터 생성됩니다. 포의 음적영역에서 생명의 양기가 탄생한다는 점에서 포를 단전이나 명문과 같이 보는 것입니다. 남자는 포 안에 정을 저장했다가 내보내고 여자는 포 안에서 태아를 기릅니다. 월경과 임신 달의 주기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달이 차기 시작했을때 혈기가 모이기 시작하고, 달이 완전히 차오르면 살이 단단해지며, 달이 기울.. 2024. 8. 4. 이전 1 다음 반응형